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테스트케이스
- 헥사고날아키텍처
- Java
- 프로세스와스레드의차이
- kafka배포
- 오블완
- 자동화워크플로우
- 자바
- N+1문제
- 오버로딩
- 티스토리챌린지
- 메소드
- 스프링시큐리티
- n8n
- selenium
- 캐시의 작동 원리
- 하이브리드접근법
- 자료구조
- 프로토콜역할
- 부트캠프
- Kafka
- 엘라스틱서치
- 한화시스템부트캠프
- STOMP
- QA
- springboot
- XSS
- jwt토큰
- nplus1
- JPA
Archives
- Today
- Total
아쿠의 개발 일지
[백준][조건문] 9498번 : 시험 성적 - JAVA 본문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498
문제 풀이 방법은 Sanner로 입력 받아서 연산을 했다.
Sanner 활용 방법을 분명 배웠는데 까먹어서 다시 공부했다.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A = sc.nextInt();
기본적으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
클래스이름 객체이름 = new 클래스이름();
우리가 입력을 하기 위해서 Scanner을 쓰는 것이고, 쓴 값을 스캔하여 컴퓨터에게 전달을 해준다.
괄호 안에 System.in을 써줘야 하는데, 이유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 스트림이기 때문이다.
다양한 Sanner의 종류들이 있지만 점수를 입력해주는 문제이기 때문에 int형 입력이 필요해서 sc.nextInt() 를 썼다.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beck = sc.nextInt();
if (beck>=90){
System.out.println("A");
} else if (beck>=80){
System.out.println("B");
} else if (beck>=70) {
System.out.println("C");
} else if (beck>=60) {
System.out.println("D");}
else {
System.out.println("F");
}
}
}
728x90
'ETC > 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[Greedy] : 큰 수 만들기 - Python (0) | 2024.05.18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[Greedy] : 체육복 - Python (0) | 2024.05.12 |